며칠째 몸이 안좋아서 집에서 쉬고만 있다. 회사에서는 요즘 새로운 업무 관련해서 정리하고 문서 만들고 이메일 쓰고 코딩 하느라 정신이 하나도 없는 상태이기는 하다. 2년동안 같이 일했던 차장님이 업무 정리해 주고 문서나 기획 업무를 모두 전담해 주었기 때문에 나는 분석 업무만 전념하면 되었는데, 이제는 주간회의도 작성해야 하고 틈날때마다 문서 작업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예전에는 급한 부분만 대충 문서를 만들었는데, 지붕이 날아간 것처럼 문서와 보고의 태풍을 만나고 있다.

 

 만 2년이 지나서 오롯이 혼자 서서 영업도 해야 하고 무슨 일을 해야 할지도 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래도 그동안 고민했던 먹을거리는 어느 정도 정리가 된 상태이고 순수하게 일만 차분히 진행하면 될 것 같은 상태이다. 그동안에는 정해진 업무가 없었고 시스템 운영도 중간에 합류한 계장님이 전담하고 있어서 내가 좀 붕 뜬 상황이었는데 이제는 내가 스스로 찾아가는 상태라고 보면 될꺼다. 거의 꼬박 2주를 문서화에만 매달렸던 것 같다.

 

 경협 자료, 요약자료, Q&A 작성, 성과기술서-부서/팀, 성과기술서-개인, 사업계획, 업무계획 등등의 모든 자료들을 만들다가 주간회의 보고자료도 만들어야 했다. 지난 2년동안의 삶을 돌아보니, 내가 정리하고 기록하는 부분에 소홀하다는 것을 깨닳았다. 그래도 한 2주 정도 죽어라고 문서 작업만 했던 성과기술서-개인은 잘 만들었다는 칭찬도 들었고 일부 수정만 해서 바로 팀장님 리뷰도 통과했다. ㅋㅋ 작년에 땀 뻘뻘 흘리면서 고생했던 것에 비하면 장족의 발전이기는 한다. 

 

 옆팀 계장님을 보면서 내가 하는 업무를 정리하는 일별 업무일지를 작성하고 있다. 여기에 주간회의 캡처도 하고 초본도 만들고 있다. 예전에는 주간회의의 중요성을 잘 몰랐는데 업무 일지와 함께 주간회의만 잘 정리해 놔도 성과기술서 작성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고 나중에 이직하거나 포트폴리오 만들때 많은 도움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모로 기존 회사에 대비해서 내가 무엇을 하고 어떤게 잘되고 그런것을 잘 정리할 수 있는 좋은(?) 제도이기는 하다. 다만, 이러한 문서 작업을 하다보면 실제 업무 이를테면 코딩을 하거나 업무 내용을 확인하거나 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지난 2주 동안 VDI를 열어서 코딩 한 줄 해본적이 없는 날도 있었고 복잡한 내용의 코딩은 하루 정도만 했다. 저녁에는 보고서 작성하고 다른 일을 하다가 보면 코딩이나 쿼리는 생각도 해볼 수가 없었다.

 

 조직개편 전에는 틈날때마다 노트북에서 이런저런 코딩도 찾아보고 간단한 테스트 코드도 작성해서 돌려보고는 했는데 이제는 그럴 여유가 전혀 없다. 정말 미친듯이 문서 작업하다가 다시 VDI 가서 코딩하다가 그러면서 살다가 회의 들어가서 업무 물어보고 정리하고 그러면 하루가 끝나있다. 그나마 예전에는 업무 구분이 정확하지가 않아서 지원을 받기가 무척이나 어려웠지만 이제 분석 업무 담당자로 인정을 받았고 분석 보고서도 정기적으로 나오기 시작하다보니 다른 팀에게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무엇보다 지금 하는 일은 예전에 없던 일이었고 나름 수요도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하나하나 배워가는 어려움이 있기는 하지만 무엇보다 새로운 것을 한다는 것이 즐겁다. 지금 하는 일을 주말에 책도 보고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데 말이지. 작년에 지금 하는 일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해서 업무 자체를 할 수 있을지 고민했는데 지금은 업무 요청은 밀려오기는 하지만, 새롭게 해볼만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조금만 더 고객행태를 이해하면 이를 기반으로 모델로 변환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주로 하는 일이 쿼리를 짜거나 아니면 파이썬으로 코드를 짜는 일인데 뭔가를 만드는 일은 아니다. 아니, 분석하고 통계 모델을 만들거나 분석용 데이터를 만들지만 뭔가 사람들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만들지는 않는다. 그러한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들은 개발자라고 해서 별도의 직원들이 있고, 나는  서비스 기획을 주로 한다고 보면 된다. 지난 2년동안 일반 사용자들이 SQL을 몰라도 GUI를 통해서 마케팅 대상 고객을 산출하고 이를 발송할 수 있는 시스템과 연동되고 나중에 결과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이를 서비스중에 있다. 원래 여기 들어온 이유는 머신러닝 모델과 같은 일을 해보려고 온건데 처음부터 이런 시스템 기획 업무를 맡았고 어차피 모델 개발해서 적용하는 것이 있으니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올해초에 프로젝트 하나 하고 하반기에 좀더 자연스러운 보고서 포맷을 만드는 일을 했고 거의 1년 반동안 준비했던 디지털 데이터 분석을 진행중이다. 씨티에서 있을때 가장 해보고 싶은 것이 디지털 분석이었지만 데이터의 한계도 있었고 Adobe Analytics라는 것이 워낙에 한계도 있어서 제대로 못했다. 그리고 내가 뭔가를 해보려고 하면 나는 다른 분석 업무를 맡던가 팀장으로 올라가던가 그것도 아니면 디지털팀을 제대로 만들고 나서는 다른 업무를 맡아야만 했다. 디지털이랑 인연은 없나보다 생각하기도 했지만, 이후에도 계속해서 해당 업무를 알아보고 있었고 꾸준히 쿼리나 분석 툴을 공부했다. 물론 가장 재미있고 어려웠던 것은 머신러닝이나 딥러닝같은 것을 공부하는 것이지만, 디지털 분석도 결이 좀 달라서 재미있다고 생각을 했다.

 

 지난 2년동안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던 디지털 로그 데이터를 바닥부터 하나하나 차곡차곡 분석하고 어느 정도 데이터를 만들어갈 능력이 있었다. 다만, 모든 것을 새로 만들지는 않았고 뭔가 기반이 되는 데이터를 찾는 것조차 어려웠다. 그러나 작년에 새로운 테이블이 2개 생기고 다른 분석 업무를 시작하면서 차츰차츰 기반이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그렇게 뭔가 이제 새로운 일을 할 준비가 되었다. 처음 시작할 때에는 거의 3주를 매달렸지만 데이터 근처도 가보지 못했고 쓸만한 데이터 구조를 익히는데도 시간이 걸렸다.

 

 데이터에 익숙해지고  어느 정도 로그데이터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가는 와중에 내가 원하는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남들이 잘안쓰는 함수를 잘 써야만 했다. 특히나 윈도우 펑션을 잘 써야 했고 이것을 적용하기 위해서 비슷한 기능의 함수를 오라클, 임팔라 그리고 파이선으로 만들어서 분석을 진행해야 했다. 최근에 안 일인데 테라데이터에서는 NPath()라는 함수를 갖고 비슷한 기능을 많이 수행한다고 한다. 주로 함수를 여러 단계의 서브 테이블로 만들 수 있어야만 했다. 처음에는 이러한 윈도우 펑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줄 몰라서 엄청나게 고생했는데 요즘에는 그 정도로 힘들지는 않아졌다. 경험도 좀 쌓였고 다음에는 경로 분석 + 이탈 분석까지 함께 보여줄 수 있는 sankey chart도 만들려고 한다.

반응형

'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 그 이후의 삶에 대해서  (0) 2024.01.28
운동을 가야 했는데,  (3) 2024.01.27
오늘은 결혼 기념일  (0) 2023.12.29
빅데이터분석기사 턱걸이 합격  (0) 2023.12.15
이제 내일 하루 남았네.  (0) 2023.12.13

 아, 그보다 회사에서 사용할 키보드를 하나 샀는데 이게 생각보다 소리가 많이 나는구나. 원래 회사에서 사용할 용도이기는 했는데, 이 정도 소리가 나면 그냥 집에서 이것저것 하는 용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뭐 중국산 키보드에게 많은 것을 바라면 안되기는 하겠지만 생각보다 키감이 별로이다. 이런 망할 정말 키보드 이런거는 돈을 좀 주더라도 제대로 된 것을 사야 한다고 생각만 했지, 이렇게 당해보니 별로이네. 그래도 접이용 무선 키보드를 쓰는 것보다는 나으니까 좀 적응해 보면 되겠지.

 

 이 키보드는 팜레스트가 있으면 좋겠지만 요즘에는 팜레스트도 가격이 좀 나가기 때문에 아마 알라딘에서 나오는 사은품 + 포인트로 구매를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12월에는 이런저런 술자리도 많았고 즐거운 일도 많았지만, 안타까운 소식도 많이 들었다. 어제는 DGB 지주사 디지털 분석팀에서 일하고 있는 차장님이 어제 계약 만료 통보를 받았고 내년 1월말 퇴직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솔직히 연말에 계약 갱신이라고 들었기 때문에 어제 좀 무리해서 저녁을 먹자고 하고 저녁도 먹고 이런저런 이야기도 많이 했다. 재미있는 사람이기도 하고 회사 나오면서 같이 일하던 사람들이 참 많이 그립기도 하다. 회사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이 몇 명이라도 있었으면 조금이라도 마음이 편했을텐데 요즘처럼 새로운 일을 만들고 물어보고 다니면서는 그런 부분에서 많은 아쉬움이 있다.

반응형

 뭐 이 정도 점수로 합격한 거 보면, 좀 창피하기도 한데. 그래도 합격이라는 것에 좀 기쁘기는 하네. 2번만에 되어서 다행인데, 이렇게 간당간당한 점수로 합격할 줄은 전혀 몰랐다.

 

 아내가 말하는 "어째 어째 살아는 돌아오는 만화 캐릭터"

반응형

 금요일에 점수가 나오니까 내일 하루만 더 일하면 어떻게든 결과를 볼 수 있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기 전에 뭔가 전환점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바로 이번에 준비하는 빅데이터분석기사가 아닐까 싶다. 이 바닥에서 가장 어려운 자격증이 ADP인데, 그것 준비하기 전에 빅분기를 전환점으로 사용하려고 한다. 느낌에는 이번에 합격할 것 같은데, 저번 시험 결과를 보면 그래도 어떻게든 되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6월에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보고 충격을 먹어서 이후, 나름 공부를 한다고 했는데 막상 시험을 보고 나니까 통계 분야가 보강되었고 ADP만큼 어려워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역시 빅데이터분석기사는 초창기때 자격증을 땄어야 하는데, 다른거 하다가 제대로 공부를 못해서 저번 시험이 훨씬 쉬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들 말씀을 잘 들었어야 하는데, 작년 이맘때 시험 본 계장님은 정작 1년동안 룰루랄라였는데, 아 진짜. 무엇보다 다시 그 긴 코스를 다 들어야 하려니 벌써부터 갑갑증이 밀려온다.

 

 원래 이번 12월초에 빅분기 실기 자격 시험을 보고 다음날은 검도 4단 승단 심사를 보게 되었다. 빅분기는 어려운 문제를 만나서 고전하다가 정말 마지막에 나왔고 승단 심사는 1차에서 절반이 탈락하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가 다행히 통과해서 2차까지 시험을 봤다. 검도는 승단 다음주에는 합격 여부가 나오기 때문에 그리 길지 않게 기다렸지만, 빅분기는 거의 2주가 걸린다. 그것도 합격 통보가 아니라 점수 공개에 2주가 걸린다는 것이다. 예전이었으면 그냥 신경끄고 다른 일에 집중했겠지만 이번에는 나름 열심히 했음에도 문제가 어려웠고, 떨어질지 아니면 붙을지가 애매했다. 원래 점수가 60점이라서 어느 정도 점수만 나오면 합격할 수 있는 구조이기는 한데 말이지.

 

 원래 계획대로라면 이번에 합격하고 연말부터 ADP 준비해서 내년초에 필기 보고 하반기에 실기를 보러 가는게 목표였다. ADP의 경우 실기 합격률이 10%가 안될 정도로 사악하지만, 그래도 공부 준비하면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많다고 해서 차분히 준비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번에 떨어지면 필기 준비와 실기 중비를 동시에 해야 하는 갑갑함이 있다. 아예 성적이 안좋으면 기대도 안할텐데 지금 생각으로는 아깝게 떨어지던가 아니면 아슬아슬하게 붙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빅분기의 경우 필기 합격 2년이내에 실기 합격을 해야 하는 제약 사항이 존재한다.

 

 좀 늦기는 했지만 좀더 열심히 할 것을 하는 후회도 있다. 아무리 후회는 빨리 해도 늦는거라고 해도 말이지. 그래도 남들은 2~3번은 떨어진다는 승단을 한번에 한것은 잘한거라고 생각한다. 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하려고 하더라도, 막상 이렇게 막연히 기다리는 것은 정말 싫다. 예전에는 이 정도는 아니었는데, 나이를 먹을 수록 기다리는 것이 쉽지 않다.

 

 

 

 

반응형

+ Recent posts